티스토리 뷰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B형 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는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감염증'을 뜻하는데, 보통 독감이라 부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과 B형 C형이 이 있는데요, 인체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A형과B형이라고 합니다. B형은 변이가 많지 않고 A형은 변이가 잘 일어나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네요. 지난 2009년 유행했던 신종플루 기억하시죠? 신종플루는 A형 인플루엔자인 H1N1에서 변이가 일어난 유형이라고 합니다.
A형 독감은 겨울, B형 독감은 봄에 유행
A형 독감은 주로 겨울 11월~1월에 주로 유행하는 양상을 보이고, B형의 경우는 주로 봄 3~4월에 걸린다고 합니다.
감기는 초기에 콧물, 기침 등의 증상으로 서서히 나타나게 되는데요, 독감의 경우는 어느정도 진행 된 후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게 나타나는데요, 그 증상으로는 일반적인 감기증상과 함께 해열제를 먹어도 열이 잘 내리지 않는 고열이 대표적인 증상이고 온몸이 아픈 근육통을 동반하며 인후통, 설사, 구토 등 감기와 다르게 전신적 증상으로 심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 호전되지만, 폐렴이나 심근염 등의합병증이 발생할 수 도 있다고 합니다. 영유아나 만성 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독감 검사의 경우, 열나고 12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너무 빨리 검사 해도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고 하니, 적당한 적당한 시기에 검사를 해야할 듯 합니다.
검사는 콧속에 기다란 면봉을 깊숙이 집어넣어 체액을 체취 후 양성인지 판단합니다. 양성으로 판단되는 경우 타미플루를 처방하게 됩니다. 독감 발병 후 48시간 이내에 먹어야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12시간 간격으로 5일간 꾸준히 먹어야 하는데요, 중간에 약을 중단하면 내성이 생길수도 있다고 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A형독감은 기관지 쪽으로, B형 독감은 소화기 쪽으로 온다고합니다.
보통 B형독감보다 A형독감이 더 힘들다고들 하지만, 개인차가 있겠죠.
만약 독감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늦더라도 독감 예방 접종을 맞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에 대한 대비, 독감예방접종 (3가, 4가)
독감 예방접종에는 3가와 4가가 있습니다. 3가는 A형 인플루엔자 두가지와 B형 인플루엔자 한가지를 예방하고 4가는 A형 인플루엔자 두가지와 B형 인플루엔자 두가지 모두를 예방한다고 합니다.
2016 독감 예방접종 백신주 구성
3가
신종플루균주 (A/H1N1)
홍콩독감균주 (A/H3N2)
계절독감균주 (B/Victoria)
4가
신종플루균주 (A/H1N1)
홍콩독감균주 (A/H3N2)
계절독감균주 (B/Victoria)
계절독감균주 (B/Yamagata)
3가 백신의 경우 생후 6개월 부터 접종이 가능하고 4가 접종의 경우는 생후 36개월 부터 접종이 가능합니다.
무료접종의 경우는 3가백신만 가능합니다.
독감접종을 해도 독감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를 일으키는데요, 이에 맞추어 매 해마다 WHO(세계보건 기구)에서는 그 해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러스를 예측해 백신 성분에 포함하도록 권장합니다. 백신 제조 업체는 WHO의 권고를 바탕으로 해당 바이러스가 포함된 백신을 그해 여름에 제조하게 되는데 예측과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하게되면 백신을 접종하여도 독감에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독감 접종시기는 10월~11월이 적당
인플루엔자 백신은 너무 빨리 접종하는 것도, 늦게 접종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독감의 유행시기와 백신의 지속기간을 고려하여 시기에 맞게 접종해야합니다.
독감 백신의 면역력은 경우 한 번 접종으로 약 6개월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독감은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해 5월 까지 발생하므로 항체형성 2주 소요 시간을 감안하여 가을에 미리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신접종 뿐만 아니라, 평상시의 습관도 중요한데요, 손을 자주 씻고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섭취 및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도 좋겠지요.
'아는만큼보인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른기침이 오래갈 때, 원인과 해결책은? (0) | 2016.12.22 |
---|---|
일상생활에서 화상 응급처치 알아두기 (0) | 2016.12.06 |
독감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등을 알아봅니다. (0) | 2016.11.12 |
환절기 감기, 감기예방법 (0) | 2016.09.18 |
여름철 식중독 증상 및 예방 (0) | 201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