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떤 상황에서 어떤 소독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일반적인 가정에는 어떤 소독약을 구비해 두는 것이 좋은지 알아봅니다.

상처에는 화상, 찢어진 상처, 감염된 상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소독약도 상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 합니다. 소독약을 잘못쓰면 더 안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도 있답니다. 약국에서라면 어떤 부위에 쓸 것인지 설명하고 적당한 소독약을 구매할 수 있겠지만 급하게 편의점에서 구매하거나 집에서 갑자기 써야할 경우, 소독약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있지 않다면 잘못쓰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제가 집에 구매해 둔 소독약들인데요, 사실 저도 소독약에 대해 잘 모르고 생각날 때 하나씩 구매해 두었답니다. 다행히 상처가 생겨서 소독할 일이 없어서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소독약이 다 거기서 거기다 생각하고, 혹이나 아이들에게 적당하지 않은 소독약을 사용하여 상처를 더 악화시켰을 수도 있었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상처가 나면 다음과 같이 처신합니다. 

지혈 | 피가나는 상처의 경우에는 피를 멈추도록 상처부위를 수건이나 거즈 등으로 완전히 덮어 손으로 압박하여 지혈을 먼저 한다.
세척 | 생리식염수나 흐르는 물로 환부를 깨끗이 세척 한다.
소독 | 감염의 위험이 있다면 소독약을 사용하여 소독을하는게 좋다.
(감염의 위험이 없는 가벼운 상처라면 습윤밴드를 붙여주는 것도 좋다.)


# 소독약 종류  #소독약 유의 사항

1. 과산화수소
상처에 바르면 흰색 거품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소독약입니다. 상처부위 굳은 핏자국을 닦을 때, 상처 위에 앉은 딱지를 녹일 때, 작은 상처에 묻은 분비물을 제거하는 용도로 가볍게 사용하고 상처 소독용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자극성이 있고 부식성이 강합니다.

2. 소독용에탄올
자극성이 강해 상처에 닿으면 통증이 매우 심하고 상처조직이 파괴될 수도 있어 피부가 약한 부분이나 화상, 얼굴등에는 쓰지 않습니다.
무언가를 닦을 때 주로 사용하는데요, 시술 전 손소독, 시술기구, 바늘, 주사기, 손톱깍기 등의 소독에 사용합니다. 주사 놓기 전이나 귀 뚫기 전 피부에 사용하여 소독효과를 내고 피부가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주로 상처없는 피부에 사용하고, 열린 상처나 상처부위가 넓을 경우 피부조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휘발성이 강해 마른 후 살균효과가 사라집니다.
** 과산화수소와 알코올은 구하기 쉽지만, 병원이 아닌 집에서의 상처치료용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3. 포비돈요오드
일명 빨간약, 오랫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인 것 같은데요, 베이거나 긁히거나 찢어진 상처. 화상수포, 세균 감염 등등에 사용됩니다.
상처를 꿰맨곳이나 수술부위에도 사용합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이상 환자, 신부전 환자, 임산부, 6개월 미만의 영아에게는 사용을 금지합니다.
포비돈 요오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진균) 등에 항균작용을 하지만, 요오드 성분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신장이나 갑상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주의해야겠습니다.
베인 상처, 화상, 수포 등 감염의 위험이 있는 상처에 응급처치 용으로 쓸 수 있습니다. 

4. 세네풀
상처소독용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세네풀은 나파졸린이라는 항생제와 국소마취제 성분이 섞여있는 약품이라고 합니다. 상처의 아픔과 가려움을 가라앉히고, 살균작용으로 상처에 번식하는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합니다.



 

# 습윤밴드

요즘 습윤밴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습윤밴드도 여러 종류가 있더라구요. 대략적으로 이야기하면 하이드로 콜로이드 소재와 폼 형태로 나뉘는 것 같습니다.  상처부위를 밀폐하여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상처의 진물을 밴드에 흡수시키고 촉촉하게 습윤환경을 유지시켜 흉터없이 상처가 치유되도록 돕는 특징이 있습니다. 

- 하이드로콜로이드 소재 : 피부가 가볍게 긁혔거나 벗겨지거거나 찢긴 상처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소재 습윤밴드를 사용합니다. 이지덤, 듀오덤, 메디터치 등이 있습니다.
- 폼형태 : 살이 베이거나 상처부위가 열리는 등의 깊은 상처, 진물이 있는 상처의 경우 메디폼과 같은 폼형이 좋다고합니다.

습윤밴드가 만능은 아니므로, 상처가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 반응이 생겼다면 병원을 찾는게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