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디언들에게 친구란 '내 슬픔을 자기 등에 지고 가는 자'란 뜻이라 한다. 
그러나 '천금(千金)을 얻기는 쉽지만 벗을 얻기는 어렵다'는 속담이 있듯, 진정한 친구를 얻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정과 관련한 사자성어, 한자성어를 알아보면서 친구의 우정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자.

지란지교(芝蘭之交)
지(芝)는 지초를, 란(蘭)은 난초를 가리킨다.
之:어조사 지, 交:사귈 교

그대로 직역하면 지초와 난초의 사귐을 뜻한다. 지초와 난초는 둘다 향기로운 꽃으로  향기로운 사귐을 뜻한다. 

 

 

 

관포지교(鮑之交)
管: 피리 관, 鮑: 전복 포, 之:어조사 지, 交: 사귈 교
고사성어로 매우 다정한 친구 사이였던 중국의 관중과 포숙처럼 우정이 아주 돈독하고 정이 깊은 친구 관계를 이르는 말이다.

수어지교(水魚之交)
水: 물 수, 魚: 물고기 어,  之: 갈 지,  交: 사귈 교
물과 물고기 사이처럼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뜻한다. 유비가 제갈량을 얻고 기쁨에 겨워서 한 말이라고한다. 

문경지교(刎頸之交)
刎: 벨 문, 頸: 목 경,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친구를 위해 자기 목을 내어줄 수 있을 정도의 사귐이란 뜻이다.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의 염파가 인상여의 출세를 시기 하였다가 나중에 인상여의 넓은 인격에 감동하여 생사고락을 함께하기로 맹세한 일에서 유래한 말이다. 

단금지교(斷金之交)
斷: 끊을 단, 金: 쇠 금, 之: 갈 지, 交: 사귈 교
단금은 쇠를 끊는 다는 뜻으로 두 사람이 합심하여 협력하면 단단한 쇠도 끊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죽마고우(竹馬故友)
竹: 대나무 죽, 馬: 말 마, 故: 옛 고, 友: 벗 우
죽마는 대나무 말, 고우는 옛 벗. 어릴적 대나무를 다리사이에 끼워 말타는 시늉을 하며 놀 듯이 소꿉장난을 같이 하며 자란 어린시절의 벗을 이르는 말이다. 어린 시절부터 함께 했던 벗은 얼굴표정만 보고도 서로의 생각을 알 수 있는 막역한 사이가 된다. 

막역(莫逆)
막역한 친구, 막역한 사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여기서의 막역(莫逆)의 뜻은 서로가 너무 잘 알아 상대방의 뜻을 거스를 일이 없는 사이를 두고 이르는 말이다. 또한 그러한 친구를 이르는 사자성어를 막역지우(莫逆之友)라 한다.

지음(知音)의 벗
知: 알 지, 音: 소리 음
고사가 전해지느데, 중국 전국시대 백아와 종자기라는 가까운 친구 사이에서 유래했다. 백아는 이름난 거문고 연주자였는데 백아가 마음속 생각을 담아 연주하면 종자기는 곁에서 묵묵히 듣고 있다가 백아의 마음속 생각을 맞추곤 했다고 한다. 백아는 자신의 음악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사람은 종자기 밖에 없다고 생각하였고 소리를 알아듣는다 하여 지음의 벗이라 했다고 한다. 
그러다 종자기가 세상을 먼저 떠나고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자신의 거문고 줄을 칼로 끊어 버리고 세상에는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알아들을 사람이 없다고 하며 다시는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여기서 유래한 사자성어가 백아절현(伯牙絶絃)이다.

백아절현(伯牙絶絃)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絶: 끊을 절, 絃: 악기줄 현
참다는 벗의 죽음을 이르는 말.

친구(親舊)
親: 친할 친, 舊: 오랠 구
오랫동안 가깝게 사귄 벗이라 뜻이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