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복을 맞이하여 더위 관련 사자성어 알아봅니다. 삼복염천(三伏炎天 석 삼, 엎드릴 복, 불꽃 염, 하늘 천) - 삼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 삼복더위를 이르는 말입니다. 두량복온(頭凉腹溫 머리 두, 서늘할 량, 배 복, 따뜻한 온) - 머리는 서늘하게, 배는 따뜻하게. 여름철 덥다고 찬 음식을 많이 먹게 되면 배탈이 나기 쉽죠. 장은 온도에 민감하다고 합니다. 여름철에 대표적 보양식인 삼계탕은 따뜻한 성질로 원기를 더해주고 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소화력에 좋다고 하네요. 부재료로 들어가는 것들도 기운을 보충해주거나 속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들이죠. 여름철에는 땀을 많이 흘리고 체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양기를 보충해주고 속을 따뜻하게 해주는 보양식을 먹어야 하는 이유가 되겠네요~ 찬기운은 올라가고 더운 기운은..

삼복(三伏)더위라는 말이 있습니다. '삼복 무렵의 몹시 심한 더위'를 이르는 말이죠~ 삼복은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에 들어가는 잡절(24절기가 아닌 잡다한 절기)로 24절기 중 소서와 처서 사이에 들게 됩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때인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킵니다. 올해의 삼복은 초복 7월 16일, 중복 7월 26일, 말복 8월 15일입니다. 복날의 복(伏, 엎드릴 복)자는 사람이 더위에 지쳐 엎드릴 정도로 더운 날이라는 해석, 사람이 개를 잡아먹는 모양새라 개를 먹는 날이라는 해석, 북녘에서 내려오던 차가운 기운이 뜨거운 여름 기운에 굴복하여 엎드린다는 해석 등등이 있네요~ 삼복과 관련한 속담 알아봅니다. # 관련 속담 초복날 소나기는 한 고방의 구슬보다 낫다. ‘초복 무렵이면 날씨가 무덥고 가뭄..

7월에 접어들었습니다.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하지(올해 6월 21일)도 지나고, 장마가 지나면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될 듯 합니다. 더운 여름, 복날 챙기시나요? 복날은 '여름 중 가장 더운 때인 초복, 중복, 말복이 되는 날'을 이르는 말이죠~ 더위가 심해질 수록 몸은 힘들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꼭 복날이 아니여도 기력을 챙기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올해(2020년)의 초복 7월 16일 : 삼복(三伏) 가운데 첫번째 드는 복날 올해(2020년)의 중복 7월 26일 : 삼복(三伏) 가운데 두번째 드는 복날 올해(2020년)의 말복 8월 15일 : 삼복(三伏) 가운데 마지막 드는 복날 여름 '더위'와 관련한 한자어와 우리말을 알아봅니다. '더위'는 명사로서 '여름철의 더운 기운'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